https://www.fetv.co.kr/news/article.html?no=149194
[FETV] 삼성SDI, 국내외 생산공장 살펴보니
[FETV=박제성 기자] K-배터리의 대들보 중 한 개 기업인 삼성SDI의 국내외 생산공장 지역은 어디에 있을까? 삼성SDI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천안과 울산 그리고 청주, 구미에 자리잡고 있다. 특히 기
www.fetv.co.kr
삼성SDI의 국내외 생산공장들에 대해서 알아보자.
위 기사에는 삼성SDI의 생산공장들에 대해 조사되어있다
국내
천안 - 소형 배터리
울산 - 중대형 배터리
청주, 구미 - 전자재료
기흥 - 본사
수원 - R&D 센터
해외
헝가리 - 2018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양산. 2022년에 2공장 증설로 P5(젠5) 배터리 양산 중. 기존에는 TV 브라운관 및 PDP (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) 생산
중국 서안 - 중대형 배터리. 중국 전기차 시장 겨냥
미국 인디애나 주 - 스텔란티스 합작법인 2025년 1분기부터 가동 예정. 첫 전기차용 배터리 셀 모듈 합작법인. 33GWh
- 2공장 34GWh 2027년 초 가동 예정. 1,2 공장 둘 다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
미국 인디애나 주 - GM 합작법인. 30GWh 2026년 완공 목표. 전기차용 원통, 각형 배터리
오스트리아, 미국 - 중대형 배터리 팩
말레이시아 - 2012년 5월부터 소형 배터리 생산.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생산. 2022년 7월에 2공장 기공식_원통형 배터리. 2025년 완공 목표. 프라이맥스(PRiMX) 21700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
베트남 - 소형 배터리 팩 거점. 삼성SDI 소형 배터리 팩 최대 생산거점
'배터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차 캐즘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4.04.06 |
---|---|
이차전지 공정 내 안전문제와 그 해결방안? (0) | 2024.03.17 |
중국의 배터리셀 과잉생산에 우리나라 3대 기업의 대응은? (0) | 2023.09.19 |
중국의 배터리셀 과잉생산과 가격 폭락 덤핑현상으로 인한 갈등 고조 가능성 (0) | 2023.09.10 |
국내 배터리 3사 AMPC에 따른 변수? 23년 상반기 매출실적과 영업이익 (0) | 2023.07.31 |